‘저위험 권총’ 예산 13억 받았지만…결국 ‘38구경’ 더 사기로

경찰 관계자가 지난 8월 29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저위험 권총을 공개하고 있다. 저위험 권총은 살상용인 38구경 권총에 비해 무게가 가볍고 안전장치도 달려있다. 저위험 권총에 사용되는 특수 탄환의 살상력은 보통탄의 10분의 1 수준이다. 연합뉴스
경찰청이 이른바 묻지마 범죄 등 흉악범죄 대응을 위해 일선 경찰관에게 저위험권총 지급 방침을 세우고 올해 13억5000만원의 구매 예산을 편성했지만 실제 구매할 총기는 살상력이 높은 38구경 권총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저위험 권총의 검증과 장비 개선이 아직 끝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찰은 저위험 권총 예산 필요하다며 올해 86억원을 또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
5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이형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경찰장비관리규칙’ 등을 분석한 결과,저위험권총예산억받았지만결국구경더사기로 경찰청이 저위험권총을 일선 치안 현장에 보급하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안전성 검증을 마치지 못해 이같은 일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현행 ‘경찰장비관리규칙’에 따르면, 경찰청이 ‘위해성 장비’를 구입해 보급하려면 해당 장비의 안전성을 입증할 안전성 검증규격과 표준검사 규정 및 기준 등을 거쳐야 한다.
경찰청은 저위험권총을 지난 2022년도에 1억5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100정의 시제품을 구매했고 현재 장비 검증과 보완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올해 13억5000만원의 저위험권총 구매 예산을 배정했다.
하지만 저위험권총에 대한 안전 검증이 끝나지 않아 구매가 불가능한 상태에 놓였다. 이로 인해 경찰청은 저위험 권총 대신 살상력이 높은 기존 38구경 권총으로 대체해 구매할 계획이라 밝혔다.
이에 대해 경찰 관계자는 “안정성 검사는 이미 지난해 마쳤다”면서 “저위험 권총 도입을 내년으로 연기한 것은 장비 추가 개선을 위한 정책적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살상력 10분의 1, 경찰 '저위험 권총' 지급 확대. 연합뉴스
이 의원은 “저위험권총에 대한 표준검사 규정·기준과 안전성 검증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며 “국민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비 도입으로 국민안전의 위해가 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163 S. Koreans arrive home from Israel on military aircraftTrend forecaster Kim RanHalf of Loona restarts as quintet LoossembleChinese avantAnother suspect of Tajik duo behind S. Korean money exchange robbery nabbed[HIT Forum] 'Korea ready to become aerospace powerhouse'[Today’s KViviz to drop 4th EP ‘Versus’ next month[Our Museums] Discover wisdom of hanok at Eunpyeong History Hanok Museum尹 “하마스 무차별 공격 규탄”...척 슈머 등 美 상원 대표단 접견
下一篇:이준석, 눈물의 회견…尹대통령 향해 "與 묵언 수행 저주 풀라"
- ·[Our Museums] Discover wisdom of hanok at Eunpyeong History Hanok Museum
- ·Samsung Electronics forecasts Q3 rebound
- ·P&G Korea launches premium diaper to combat skin dryness
- ·More webtoon
- ·New government initiative offers W3b reward to combat digital piracy
- ·[Herald Interview] Monte
- ·More webtoon
- ·IMF maintains 2023 growth outlook for S. Korea at 1.4 pct
- ·Another suspect of Tajik duo behind S. Korean money exchange robbery nabbed
- ·[HIT Forum] Innospace champions small satellite renaissance
- ·민주당 개표 초반부터 환호성…김태우 캠프엔 적막 가득했다
- ·Yoon's approval rating at 34.2% with parliamentary elections 6 months away
- ·MBK chairman makes donation to promote Korean art at New York's Met
- ·Science minister welcomes HIT forum on space economy
- ·HIT forum on space to be held in Seoul
- ·Dawn begins mandatory military service
- ·Another suspect of Tajik duo behind S. Korean money exchange robbery nabbed
- ·[New on scene] Kim Chang
- ·LG CNS launches new AI platform for corporate clients
- ·[HIT Forum] Korea's only astronaut highlights humanity's connection with universe
- ·Gimbap and hanja cramming: Life of Korean Studies students in Paris
- ·Igis launches $100m secondary fund for overseas investment
- ·N. Korea may conduct nuclear test to divert internal attention from food crisis: Seoul ministry
- ·Science minister welcomes HIT forum on space economy
- ·Reeling from election loss, ruling party picks new leader posts
- ·218 Koreans head home from Israel: Foreign Ministry
- ·野 “與 보선 참패 후 이재명 전광석화 기소…국민 심판받을 것”
- ·Subsidiary expansion procedure for insurers overseas to be simplified: FSC
- ·S. Korea has 'no urgency' to cut key lending rate soon: IMF director
- ·[Today’s K
- ·Le Sserafim to release first English single 'Perfect Night'
- ·Le Sserafim becomes house ambassadors for Louis Vuitton
- ·탄약 찾는 러…국방부 "北컨테이너 적재량, 포탄 수십만발 분량"
- ·[HIT Forum] Korea's only astronaut highlights humanity's connection with universe
- ·[HIT Forum] 'Korea ready to become aerospace powerhouse'
- ·Samsung Electronics forecasts Q3 rebound
- ·[Top Envoy] Russian satellite help not likely priority for North Korea: Chun
- ·Half of Loona restarts as quintet Loossemble
- ·윤 대통령 “중동 리스크 대응, 민생에 전력 다해야”
- ·Seoul shares open higher on US gains
- ·Foreign workers' deaths get weak sanctions
- ·GS Caltex, Posco team up on biofuel